공관 활동 데이터 공관활동데이터를 활용해 최신 정보를 손쉽게 확인해보세요 전체보기 이혁 주일대사, 릿쿄대학교 윤동주 기념비 제막식 참석 이혁 주일대사는 릿쿄대학교 윤동주 기념비 제막식(10.11.)에 참석하였습니다. 이 대사는 축사에서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인 올해 제막된 기념비가 윤동주의 문학과 생애를 기리는 것을 넘어서서 한일 양국의 교류와 협력의 가교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하였습니다.또한 이 대사는 기념비 제막식에 앞서 개최된 '시인 윤동주와 만나는 릿쿄의 가을' 행사에 참석하여 시낭송대회 수상자에게 상장을 수여하였습니다. 2025.10.14. 일본 주 일본 대사관 정연두 대사, 앙카라 수도 제정 102주년 기념행사 참석 (10.13) 앙카라의 튀르키예 공화국 수도 제정 102주년을 축하합니다.정연두 대사는 10.13(월) 앙카라 광역시에서 주최한 기념행사에 참석하여Mansur Yavaş 앙카라 시장에게 축하 인사를 전했습니다. 2025.10.14. 튀르키예공화국 주튀르키예 대사관 한국, 세계 최대 규모의 식음료 산업박람회인 'ANUGA 2025'에 주빈국으로 참여 우리나라는 "Flavor meets Trends"라는 주제를 가지고 세계 최대 규모의 식음료 박람회인 'ANUGA 2025(10.4-8, 쾰른)'에 주빈국으로 참여하였습니다.10.4 개최된 개막식에는 우리측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임상범 주독일대사 등이 참석했으며, 독일측에서 Alois Rainer 독일 연방식품농업부 장관, Henriette Recker 쾰른 시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한국이 주빈국으로 함께 하게된 것을 환영하였습니다. 아울러, 올해 ANUGA 행사 한국관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100개 우리 기업이 참가했습니다. 주독일대사관은 앞으로도 K-Food가 독일에 더 활발히 진출해 양국의 식문화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계속 해나갈 예정입니다. 2025.10.13. 독일 주 독일 대사관(경제) 외교안보연구소 하상섭 교수, FUNAG 방문면담(10.10.)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IFANS) 하상섭 교수는 10.10(금) 브라질 외교부 산하 싱크탱크 FUNAG(Fundação Alexandre de Gusmão)을 방문하고 브라질 외교부 Leandro Moll 유엔과장, Giuliana Ciccu 한반도일본과장, Elisiane Rubin Rossato 대외협력실장을 면담하여 브라질의 대외정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025.10.11. 브라질 주 브라질 대사관 정동영 통일부장관 독일 방문 정동영 통일부장관은 제35주년 독일 통일 기념식 참석차 9월 28일부터 10월 3일까지(10.2.은 벨기에 방문) 독일을 방문하였습니다. 이번 순방에서 정동영 장관은 독일 통일 기념식 참석, '2025 국제한반도포럼' 독일세미나 개최, 독일 주요 인사 면담, 연방 및 베를린 정치교육원 방문, 베를린자유대 특강, 현지 언론인 간담회 등을 통해 우리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하였습니다. 2025.10.10. 독일 주 독일 대사관(정무) 아디스 아메토비치(Adis Ahmetović) 연방하원 외교위원회 간사(사민당) 면담 임상범 대사는 10.8(수) 아디스 아메토비치(Adis Ahmetović) 사민당 소속 외교위 간사를 면담하고, 한-독 양자 관계 및 국제 정세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2025.10.13. 독일 주 독일 대사관(정무) 강경화 주미대사, 주미국대사관 관저 리모델링 공사 현장 방문 (10.10) 강경화 제29대 주미대사는 10.10(금) 주미국대사관 관저 리모델링 공사 현장을 방문하였습니다.강 대사는 주미국대사관 관저의 전통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배려 기능을 개선하며, 노후화 시설을 보수하여 국가 위상에 맞는 외교 활동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공사 현장의 시공사 직원들을 격려하였습니다. 2025.10.14. 미합중국 주 미국 대사관 강경화 주미대사, 빌 해거티(Bill Hagerty) 상원의원(공화, 테네시) 면담 (10.9) 강경화 주미대사는 10월 9일(목) 빌 해거티(Bill Hagerty) 상원의원(공화/테네시/외교위)과 면담을 갖고, 한미동맹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강 대사는 한미 간 다양한 현안을 긴밀히 조율해 나가는 과정에서 한미동맹이 한층 더 발전해나갈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조선 및 첨단기술 등 차기 핵심 협력 분야에서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 미 의회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습니다.해거티 의원은 미 의회 내 한미동맹에 대한 초당적 지지가 굳건하다고 하면서, 테네시주에도 다수의 한국 기업이 지역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양국 관계 발전을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2025.10.11. 미합중국 주 미국 대사관 강경화 주미대사, 앤디 킴(Andy Kim) 상원의원(민주, 뉴저지) 면담 (10.9) 강경화 주미대사는 10월 9일(목) 앤디 김(Andy Kim) 상원의원(민주/뉴저지)과 면담을 갖고,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강 대사는 김 의원의 한미동맹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지원에 사의를 표하고, 조선 및 첨단기술 등 핵심 협력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위해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내 한인들의 권익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데 있어서도 적극적 역할을 당부했습니다.이에 김 의원은 한국계 연방 상원의원으로서 우리 기업들의 뉴저지주 및 미국 내 진출을 적극 지원하는 등 양국 관계의 진정한 가교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또한, 한미일 3국 의회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기여하겠다고 했습니다. 2025.10.11. 미합중국 주 미국 대사관 임상우 공사, 마니푸르 대학교 한글날 행사 참석 (10.9)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하여 임상우 공사가 마니푸르 대학교를 방문하였습니다. 임 공사는 마니푸르 대학에서 올해 한국어 박사 과정이 출범한 점을 환영하고, 누구나 쉽게 읽고 쓸 수 있도록 창제된 한글이 한-인도 양국을 연결하는 교량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2025.10.10. 인도 주 인도 대사관 이탈리아 방산·항공우주 기업 Leonardo社 회장 면담(10.6.) 김준구 대사는 10.6.(월) 스테파노 폰테코르보(Stefano Pontecorvo) Leonardo社 회장을 면담하였습니다. 김대사는 폰테코르보 회장으로부터 Leonardo社와 한국 기업 간 협력 현황 및 계획에 대한 설명을 듣고, 양국간 방산·우주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김대사는 양국이 방산·우주 분야에서 공동 기술 개발 등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고,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나가기로 하였습니다. 2025.10.09. 이탈리아 주이탈리아대사관 2025 임진하키클래식 주캐나다 한국대사관 무관부는 지난 10월 4일(금), 오타와 카나타의 Bell Senseplex 에서 한국전쟁 중 펼쳐졌던 ‘임진하키토너먼트’를 기념하는 재현 경기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리고, 한국과 캐나다의 깊은 우정과 전우애를 되새기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프렌들리 경기’에서는 각국 무관단으로 구성된 Lameduck 팀과 캐나다 의원 하키팀이 맞붙었으며, 이어진 ‘레전더리 경기’에서는 1952년 결승에 올랐던 PPCLI와 22연대가 재현 경기를 펼쳤습니다. 행사에는 안영기 대사대리, 이동원 무관, 마틴 상원의원, 페터슨 상원의원, 아버드 장군 등 주요 인사와 한국전 참전용사 7명이 참석했습니다. 특히, 1952년 임진하키 원년 경기의 주역 데니스 무어(Dennis Moore) 참전용사가 4시간 거리의 노스베이에서 직접 찾아와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이백여명이 참석한 이번 임진하키 재현경기는 한국과 캐나다가 전쟁 속에서 맺은 인연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2025.10.08. 캐나다 주 캐나다 대사관
국가분석 국가별 기본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국가 전체 가나 가봉 가이아나 감비아 과테말라 교황청 그레나다 그리스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우루 나이지리아 남수단 남아프리카공화국 네덜란드 네팔연방 노르웨이 뉴질랜드 니우에 니제르 니카라과 덴마크 도미니카공화국 도미니카연방 독일 동티모르 라오스 라이베리아 라트비아 러시아 레바논 레소토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리비아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마다가스카르 마셜제도 마이크로네시아연방 말라위 말레이시아 말리 멕시코 모나코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아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디브 몰타 몽골 미얀마 미합중국 바누아투 바레인 바베이도스 바하마 방글라데시 베냉 베네수엘라볼리바르 베트남 벨기에 벨라루스 벨리즈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볼리비아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부탄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브라질 브루나이 사모아 사우디아라비아 사이프러스 산마리노 상투메프린시페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세인트키츠네비스 소말리아 솔로몬제도 수단 수리남 스리랑카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시리아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아이티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아프가니스탄 안도라 알바니아 알제리 앙골라 앤티가바부다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스토니아 에콰도르 에티오피아 엘살바도르 영국 예멘 오만 오스트리아 온두라스 요르단 우간다 우루과이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자메이카 잠비아 적도기니 조지아 중국 중앙아프리카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체코 칠레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케냐 코모로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콜롬비아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쿠바 쿠웨이트 쿡제도 크로아티아 키르기즈공화국 키리바시 타지키스탄 탄자니아 태국 토고 통가 투르크메니스탄 투발루 튀니지 튀르키예공화국 트리니다드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페루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피지 핀란드 필리핀 헝가리 호주 프랑스(The French Republic) 수도 파리(Paris) 면적(km²) 675,417(속령 포함 / 한반도의 3.1배) 인구(명) 68,000,000(2023.1) 기본정보 종교 가톨릭, 신교, 유대교, 이슬람교 언어 프랑스어 민족 골족, 프랑크족 등 기후 서부는 해양성 기후, 중부는 대륙성 기후, 남부는 지중해성 기후 여행위험경보 여행유의 전 지역
해외여행안전정보 최신 해외 여행 안전정보, 데이터로 빠르게 확인하세요 전체보기 미합중국 (미국)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발생 및 피해 예방 사례 2025.10.14. 캄보디아 캄보디아(프놈펜)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2025.10.10. 에콰도르 에콰도르 여행경보 상향 조정 2025.10.08. 모로코 (모로코) 폭력 시위 발생 관련 안전 유의 2025.10.02. 그리스 그리스 10.1.(수) 시위, 총파업 관련 안전 유의 당부 2025.10.01.
글로벌 채용정보 리스트 베트남 주호치민총영사관 일반직 행정직원 채용공고(재공고) 주호치민총영사관 ~2025.10.20. 루마니아 주루마니아대사관 일반직 행정직원 채용공고 주루마니아대사관 ~2025.10.16. 오스트리아 Intern (Office of Legal Affairs and Compliance) UNIDO ~2026.10.05.
국제관계 주요일정 외교부의 국제관계 주요일정을 확인해보세요 전체 양자관계 다자관계 다자관계 2025.09.08.~2025.10.08. 제60차 유엔 인권이사회 (제네바) 다자관계 2025.09.30.~2025.10.01. 제8차 부산글로벌파트너십포럼 (서울) 다자관계 2025.10.02.~2025.10.02. 한-아프리카연합(AU) 정책협의회 (서울) 양자관계 2025.10.02.~2025.10.02. 제2차 한-캄보디아 영사협의회(프놈펜) 양자관계 2025.10.02.~2025.10.02. 제6차 한-AU 정책협의회(서울) 양자관계 2025.10.02.~2025.10.02. 한-영 과학기술외교 심포지엄(서울) 다자관계 2025.10.13.~2025.10.14.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사전회의(Pre-COP30)(브라질)
글로벌 공공데이터 개방목록 전 세계의 공공 데이터를 확인해보세요 전체보기 The home of the U.S. Goverment's Open Data 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Canadian Government Open Data Canada data.e-gov.go.jp Digital Agency Data.gouv.fr ETALAB The data portal of Germany Bundesregierung
MOFA 인사이트 일부 서비스 이용 제한 안내 9.26.(금)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인해 현재 MOFA 인사이트 일부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 이용 제한 서비스 : 공공데이터 포털 연계 제공 서비스 * 공공데이터 제공신청 및 문의 - 전화 : 02-2100-7159 - FAX : 02-2100-7925 2025.09.29.